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은 일반적으로 코스피와 코스닥으로 나뉘어 거래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코스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코스피란 무엇일까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

원래는 한국증권거래소 때부터 계승되어온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의 종합주가지수를 이르는 말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의미가 확대되어 사실상 유가증권시장을 코스피시장(KOSPI Market)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한국어 정식 명칭은 여전히 유가증권시장이며 한국거래소에서 공식적으로 명칭을 변경한 적은 없습니다. 이 항목도 지수 뿐만 아니라 유가증권시장도 같이 설명합니다. 유가증권시장에 기업공개를 통해 상장하려는 기업은 상장예비심사 청구수수료 500만 원이 있습니다.

 

코스피란?

코스피란 대한민국의 제1 주식시장으로, 2017년 11월 시점으로 코스피는 2500선을 돌파해 시가총액은 1650조원 가량이며 우리나라의 튼튼한 대기업들을 비롯해 안정적인 기업들은 거의 다 이 코스피시장에 몰려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삼성전자를 비롯해 SK하이닉스, 셀트리온, 현대자동차, 한화그룹, POSCO, 삼성물산, LG전자, KT, 한국전력등 여기에 올라 있는 대기업및 준대기업들이 매우 많습니다. 코스피시장의 가격제한폭은 상하 30%인데 과거에는 15%였습니다.

 

코스피시장의 선물시장으로 코스피200 선물이 있으며 코스피200 선물 시장은 거래량이나 거래대금으로는 그 규모가 세계 3~4위를 자랑하는 거대시장입니다. 사이드카제도와 서킷브레이커 제도가 시행되고 있어 급등하거나 급락하는등의 특별한 경우 발휘됩니다. 현재의 코스피는 시가총액식 주가지수로, 1983년에 지정되었는데 그 전에는 다우존스식 수정주가평균방식으로 주가지수를 계산했습니다. 점점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기존 주가지수가 새로 상장된 기업들의 주가수준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다수 나오면서 1972년에 한국종합지수를 기준으로 삼고 새로 지정하여 80년대 전반기까지 사용했습니다. 그렇지만 1972년 한국종합지수라는 지수를 지정한 이후로도 새로 들어온 기업들의 주가수준을 반영하겠다고 주가지수 산출시점을 여러 번 변경해 전문적인 주식의 사전지식이 없으면 이 당시의 주가가 어느정도였는지 알기 힘듭니다.

 

대표 주가지수 KRX300

대한민국의 공식적인 대표 주가지수는 KRX300인데 외국인들마저 코스피지수가 대한민국의 대표지수인 줄 알고 있는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 그 정도로 코스피지수의 네임밸류는 상당한 수준입니다. 이를 입증하듯 미국, 영국, 중국, 싱가포르, 홍콩. 일본 등 외국의 경제방송을 할때 하단 자막에는 항상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가 나오는데 코스피지수의 위상은 높습니다. 다른 나라의 주식전문방송사에서 전세계 증시 현황을 보여줄 때 코스피지수는 항상 등장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는 한국의 코스피시장이 꽤 큰 편이지만 동아시아에서는 상하이종합지수와 닛케이225지수에 밀려 대표성이 낮습니다.

 

1989년 이후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코스피 지수가 1000p를 넘거나 그 선에서 머물때 바로 코스피지수가 항상 하향세를 타 가두리 양식장이라는 별명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코스피는 2005년이 되어서야 1994년도의 고점을 넘어서며 이러한 패턴에서 벗어나는듯 했으나 그 당시 경제성장률의 성장과 부동산 시장 활황, 연기금/펀드와 같은 금융 유동성이 높아지며 코스피 지수는 2007년 2000선을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2008년 금융위기를 거치며 1000포인트선이 붕괴되기도 했는데 2009년과 2010년도에 다시금 상승하여 다시금 2000선을 회복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 오랫동안 1800 ~ 2200의 박스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즉, 이러한 지수상승폭을 보고 그 동안의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을 생각했을때 주식시장의 성장이 다른 나라에 비해 더디다는 것을 알 수있습니다. 경제규모의 상승에 비하면 증권시장의 성장이 이루워지지 않은 대표적인 예에 속하고 있습니다.

 

2020년 주식시장상황

2020년은 전세계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전세계적으로 2020년 주가 대폭락이 일어나면서 우리나라도 1600선이 붕괴되며 폭락했습니다. 이후 3월 25일 1700을 회복하고, 5월 30일에는 2,029.60으로 2000선을 회복했습니다. 9월 들어 미국 나스닥 증시 폭락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가 주춤했는데 2020년은 미국 대통령 선거, 코로나19 등의 변수가 많아 주가가 앞으로 어떻게 변하지 아무도 알수 없습니다.

 

오늘은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인 코스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올해는 변수가 많은 만큼 주가를 예측할 수 없으니 충분히 고심하시고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